개발 고민 2

[2022-11-15] 고민

BO (service) 에서 조회 조건 검색 넘겨줄 때, 파라미터가 많아지는데 이걸 검색 VO 같은걸 만들어서 처리하는게 나을까? 근데 이러면 BO 함수 사용하는 쪽(주로 controller)에서 좀 번거로워짐...계속 searchVO에 값을 set해줘야해서... 파라미터 개수의 준을 정하고 그 보다 많으면 객체로 묶어볼 수 있을 듯... 하지만 재사용성이 너무 떨어지거나 하면 그냥 그대로 두거나 차라리 메소드의 기능을 쪼개보는게 어떨까? 기능이 쪼개지면 필요한 파라미터도 쪼개질 것 같은데 select 쿼리들을 하나로 계속 통합하는 방향이 나을까?(하나의 쿼리에 검색 조건 동적으로 계속 추가하면서) => 기본적으로 범용성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, 성능 문제 같은 어떤 이슈가 있을 때 분리를 결정하는게 좋은..

개발 고민 2022.11.15

[2022-08-12] 고민

- DB를 통해 자료 list를 select만 해오는 기능을, 즉 'aaaMapper.selectAAA' 와 같은 것은 한줄 짜리라도 serivce 계층에서 함수로 분리하는게 맞을까 아니면 그냥 그정도는 바로 쓰는게 나을까. 함수를 만들자니 당장 체감되는 장점은 없고 코드만 늘어나는 느낌... 그냥 차후에 있을지 모르는 기능 확장을 대비한다는 느낌? => 보통 service 함수에 transaction이 걸리기 때문에 가능하면 service 함수를 통해서 접근하는게 좋다. 경우에 따라서 아주 간단한 조회 기능인 경우 그냥 바로 dao(sqlmapper)를 통해서 불러오기도 한다. - language 정보를 이용해 필요한 컬럼 정보를 가져와야한다. 예를 들면 user_name_lang1, user_name..

개발 고민 2022.08.12